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[소공] Software Process

Software Process 


소프트웨어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구별할 줄 알아야한다. 


폭포수모델


폭포수모델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컨셉이다. 


요구사항 정의가 맨 위에 있다. 


요구사항 정의가 끝나야 다음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. 


명세화라고 하는것은 문서화를 한다는 것이다. 



문제는 설계를 잘 이해하여야 한다.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을 얘기를 할 때에는 설계를 뺄 수 있으면 빼야 한다.


 폭포수 모델은 위와같은 개발 비율을 가지고 있다.


반복적인 개발은 폭포수 모델처럼 처음부터 쫙 한 후 반복하는 것이다. 


반복적인 개발 컨셉을 잘 가지고 있으면 리스크 관리가 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 실패율을 줄일 수 있다.다.


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공학CBD(component base development)라고 한다. 

컴포넌트 기반 개발은 시험을 50%이상 한다. 미국도 이렇게 테스트를 절반 이상하진 않는다.

긴 수명을 갖는 시스템의 개발 및 진화비용은 개발비용이 33%이고, 유지 보수 및 운영 비용이 67%이다. 

각 단계안에 해야될 일들이 있다. 

단계마다 해야될 일을 쭉 명시해놓은 것이 개발 단계이다. 

구체적으로 각 단계마다 어떻게 해야될지 명시해놓은 것이 개발 단계이다. 

어떻게(How to do)가 방법론이다. 

프레임워크가 큰 개념이고 그 안에 액티비티가 있다. 

큰 단위, 중간 단위, 작은 단위로 분할한 것이다. 

Digital Experience와 신기술 기반

고객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Intelligent ICT 전문기업입니다.


workflow -> activity -> task 순서로 한다. 

RUP(Rational unified process)는 프로세스임에도 불구하고 굉장히 방대하다. 

milestone : 

deliverable: 고객한테 어떤 일정을 잡는 등 의사결정 

umbrella activities : 비가 올때 우산을 써야 비를 안맞는 것처럼, 보호 활동이 있다. 

PMBOK :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 

Deploy : 서버에 소스코드를 올려놓는다. 

Umbrella activities 

configuration management 

소프트웨어에서는 형상 관리라고 한다. 

소프트웨어에서 형상이라고 하는것은 엔지니어들이 소스코드 , 한글, 워드 , 개발에 사용된 임시 파일 모두 형상이다. 

형상 관리를 해야되니까 버전 관리를 하는거다. 

work product : 초기 원서에는 document라고 되어있었다. 

RUP : 방대하고 해야될 일이 많으니까 큰거 버리고 애자일을 쓰자고 한다. 

애자일을 사용하건 RUP를 사용하건 일을 하는 사람이 잘하면 된다. 

수업시간에 다 듣고 이해한대로 문장을 쓰면 된다. 

기사시험 볼 사람들은 프로세스 다 알아야한다. 

앞단계가 끝나야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 선형순차적모델(폭포수모델)이라고 한다. (***시험문제***)

다음단계를 수행하려면 앞 단계의 결과물이 명확하게 나와야한다. 

문서가 각 단계마다 만들어진다.  폭포수 모델은 리스크를 줄이기가 어렵다 . 

개발이 진행되어야 요구사항이 이해된다. 

*보고서는 화면 캡쳐하지 말고 타이핑해야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