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[DB] 데이터베이스 스키마/카탈로그 [ 3단계 데이터베이스 ] 1) 외부 스키마 (external schema, sub-schema) : 집주인 관점 - 개개 사용자 관점에서 정의한 DB 스키마 - 각각의 사용자가 데이터 베이스를 어떻게 보는가를 표현하므로, 사용자마다 생각하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가 다르다. - 쉽게 말하면, View 를 의미한다. (겉으로 보이는 Table의 형태이다.) 2) 개념 스키마 (conceptual schema) - 모든 응용에 대한 전체적인 통합된 데이터 구조이다. DB에 저장되는 데이터와 이들의 논리적 구조, 관계를 정의한다. - 보통의 스키마라고 말하는 것이 이 개념 스키마이다. - 어떤 테이블의 속성, 관계와 릴레이션을 정의하는 것이 이 관점에서 바라본 스키마이다. 3) 내부 스키마 : 저장장치 관점 -.. 더보기
[opencv] 'X86' 모듈 컴퓨터 종류가 'x64' 대상 컴퓨터 종류와 충돌합니다 [ OPENCV 설치시 오류 해결 ] ' LNK 1112 'X86' 모듈 컴퓨터 종류가 'x64' 대상 컴퓨터 종류와 충돌합니다' 라는 오류는, 자신의 opencv 가 x64인데 , Visual Studio의 컴파일러가 x86인 경우 발생합니다. Visual Studio 상단 Debug 옆의 x86을 x64로 바꾸어주면 문제가 해결된다. 컴파일러 버전을 변경한 이후에는 프로젝트 속성에 들어가서 다시 opencv 폴더와 연결을 해야 합니다. 더보기
[소공] Software Process Software Process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와 방법론을 구별할 줄 알아야한다. 폭포수모델 폭포수모델은 물이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컨셉이다. 요구사항 정의가 맨 위에 있다. 요구사항 정의가 끝나야 다음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. 명세화라고 하는것은 문서화를 한다는 것이다. 문제는 설계를 잘 이해하여야 한다.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을 얘기를 할 때에는 설계를 뺄 수 있으면 빼야 한다. 폭포수 모델은 위와같은 개발 비율을 가지고 있다. 반복적인 개발은 폭포수 모델처럼 처음부터 쫙 한 후 반복하는 것이다. 반복적인 개발 컨셉을 잘 가지고 있으면 리스크 관리가 되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발 실패율을 줄일 수 있다.다.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공학은 CBD(component base development)라고 한.. 더보기
[DB] 정보와 데이터베이스, 개체/속성/관계 목차(INDEX) 1. 정보와 데이터 2. 자료처리 시스템의 종류 3. 데이터베이스(database) 정의 4. 통합데이터란? 5. 데이터 베이스의 특성 6.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란? 7. 개체란 ? 8. 속성이란? 9. 개체 집합이란 ? 10. 관계란? 11.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구조와 물리적 구조 1. 정보와 데이터 1-1) 데이터의 정의 데이터란, 관찰이나 측정을 통해 수집된 사실이나 값이다. → 데이터를 시간대에 따라 분류하면 정보가 나온다. 1-2) 정보의 정의 정보란,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의 해석이나 데이터 상호간의 관계이다. 데이터와 정보의 차이점은 이런식으로 볼 수 있다. 정보는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데, 의사결정이란 얘기는 '우리가게가 수요일에 장사가 잘되냐?' 라는.. 더보기
[웹] 로컬에 웹 서버 구축하기 / 가상호스팅 설정 인트로 로컬에 웹서버를 구축하고 가상 호스팅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Mongodb와 xampp가 설치되어야합니다. [1단계] Xampp를 설치하는 글 보러가기(클릭) [2단계] Mognodb를 설치하는 글 보러가기(클릭)\ [3단계] 가상호스팅 설정하기 (클릭) [3단계] 로컬(localhost)에 웹 서버 구축하기 1. composer download (windows) https://getcomposer.org/Composer-Setup.exe 위의 링크에서 laravel 프레임워크 설치를 위한 composer을 설치한다. 2. cmd에서 라라벨 설치 명령어 입력 다음과 같은 라라벨 명령어를 입력한다. 1) composer global require laravel/installer 2) laravel.. 더보기
[웹] 로컬에 웹서버 구축하기 / MongoDB설치 인트로 안녕하세요. XAMPP 위에 mongodb를 얹어서, 로컬에 웹 서버를 구축해보고자 합니다. [1단계] Xampp를 설치하는 글 보러가기(클릭) [2단계] Mognodb를 설치하는 글 보러가기(클릭) [3단계] 가상호스팅 설정하기 (클릭) 1. 자신의 php 버전에 맞는 Mongodb 다운로드하기 https://pecl.php.net/package/mongodb/1.5.3/windows 필자는 php 7.3의 Thread Safe(TS) x86 을 설치했다. +) Thread Safe 를 다운받을지 Non Thread Safe를 다운받을지는, http://localhost/dashboard/phpinfo.php 에서 확인해보면 된다. 2.xampp에 mongodb 추가하기 C:\xampp\php에.. 더보기
[웹] 로컬에 웹서버 구축 / XAMPP설치 인트로 안녕하세요. 로컬에 웹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Mongodb와 xampp가 설치하고 가상 호스팅이 설정되어야합니다. [1단계] Xampp를 설치하는 글 보러가기(클릭) [2단계] Mognodb를 설치하는 글 보러가기(클릭) [3단계] 가상호스팅 설정하기 (클릭) [1단계] XAMPP 설치로 로컬에 웹 서버 구축하기 1. XAMPP Download 에서 설치파일 다운로드 https://www.apachefriends.org/download.html 필자는 윈도우 환경에 XAMPP를 설치했고, 가장 최근 지원 버전인 PHP 7.3.2를 설치했습니다. 2. XAMPP 설치파일 실행 설치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면 이러한 알림창이 뜨는 데, C:\에 설치할것이므로 OK를 누르고 가뿐히 무시한다. 3. X.. 더보기
[DB]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인트로 안녕하세요.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에 대해 포스팅하겠습니다. 목차 1. 마이그레이션이란? 2.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이란? 3. PHP기반 라라벨 프레임워크의 MIGRATION 1. 마이그레이션이란? CRUD(Create, Read, Update, Delete)를 잘 수행하려면,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 스키마가 잘 정의되어 있어야합니다. 마이그레이션(migration)이란, 한 운영환경으로부터 다른 운영환경으로 옮기는 작업을 뜻합니다. (예, 윈도우 --> 리눅스)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, 네트워크 등 넓은 범위에서 마이그레이션의 개념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 2.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이란?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란, 데이터 베이스 스키마의 버전을 관리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(.. 더보기